카테고리 없음

데이터 사이언스를 위한 선형대수학

hr_data 2024. 9. 26. 14:38

선형대수학은 데이터를 벡터나 행렬로 표현하고, 이들 간의 연산과 변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수적이다. 머신러닝, 딥러닝, 데이터 분석, 차원 축소, 추천 시스템 등 데이터 과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선형대수학은 기초가 되는 역할을 하므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선형대수학을 반드시 공부해 한다.

 

 

1. 데이터 표현 및 조작

데이터 구조: 데이터는 보통 행렬이나 벡터로 표현. 예를 들어, 표 형식의 데이터는 행렬로 나타낼 수 있고, 각 행 또는 열이 하나의 데이터 포인트를 나타냄.

벡터와 행렬 연산: 데이터를 처리할 때, 벡터와 행렬 연산이 많이 사용. 선형대수학을 이해하면 데이터의 전처리(예: 정규화, 표준화), 변환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

 

2. 머신러닝 알고리즘

선형 회귀: 선형대수학을 기반으로 한 대표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 목표는 데이터에 가장 적합한 직선을 찾는 것이며, 이를 위해 최소 제곱법 등 선형대수학 개념을 활용.

PCA(주성분 분석): 차원 축소 기법으로, 데이터의 분산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데이터를 투영하기 위해 **고유값(eigenvalue)와 고유벡터(eigenvector)**를 사용.

서포트 벡터 머신(SVM): 고차원 공간에서 선형 분리 경계(초평면)를 찾는 알고리즘으로, 이때 벡터와 행렬 연산이 핵심.

 

3. 딥러닝

신경망 가중치: 딥러닝에서 뉴런 간의 연결 가중치들은 행렬로 표현되며, 신경망 학습에서 행렬 곱셈이 반복적으로 사용. 신경망의 각 층에서 입력과 가중치를 곱하고 활성화 함수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선형대수학이 기본적으로 사용.

그래디언트 계산: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그래디언트를 계산하는 과정에서도 행렬 미분과 같은 선형대수학적 개념이 필요.

 

4. 추천 시스템

추천 시스템에서 **행렬 분해(Matrix Factorization)**와 같은 기법은 선형대수학을 사용하여 사용자와 아이템의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을 분해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추천을 만듬.

 

5. 고유값 및 고유벡터

**고유값(eigenvalue)와 고유벡터(eigenvector)**는 차원 축소, 데이터 분해, 페이지 랭크(PageRank) 알고리즘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예를 들어, **PCA(주성분 분석)**는 데이터의 주요 변동성을 포착하기 위해 고유벡터를 사용.

 

6. 코사인 유사도 및 벡터 공간 모델

텍스트 데이터 분석에서는 **벡터 공간 모델(Vector Space Model)**을 사용하여 문서를 벡터로 표현하고, 두 벡터 간의 코사인 유사도를 계산하여 문서 간의 유사성을 측정한다. 이러한 유사성 측정도 벡터 연산을 기반으로 함.

 

7. 빅데이터 처리

대규모 데이터를 다루는 빅데이터 처리에서도 병렬 행렬 연산이 자주 등장함. 선형대수학은 이러한 행렬 연산을 최적화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함.